본문 바로가기
일상꿀팁

월세,전세 재계약 전 필수 확인

by 하랑캠프 2024. 1. 26.
728x90
반응형

오늘은 월세,전세 재계약 전 필수확인 체크리스트를 알려드리겠습니다.

 

만약 월세,전세 재계약 하실분들이라면

 

끝까지 읽는게 좋겠네요! 

 

그럼 월세 ,전세 재계약 전 필수확인해야 하는게 뭔지 바로 알아보시죠 

 

월세


부동산임대 의 한 종류.

 

집주인과 세입자 간 임대차 계약을 통해 집 을 일정 기간 빌리는 계약. 세입자는 일정액의 보증금을 내고 매달 일정 날짜에

 

집주인한테 월 차임을 납부하는 형식이다.

 

이 월 차임을 집세 또는 그냥 라고 부른다.

 

전세와는 달리 재산으로 인정되지 않는다.

 

전세는 집을 빌릴 때 집주인에게 맡긴 전세보증금을 그 집에서 퇴거할 때 그대로 돌려받기에, 전세보증금을 재산으로 인정할 수 있다.

 

그러나 월세의 경우에는 매달 돈을 주고 집을 대여하는 렌탈과 같은 개념, 즉 집 사용료처럼 월세를 내서 퇴거할 때 나중에 돌려받을 일이 없기 때문이다.

 

만약 월세를 알아보고 계시다면 직방에서 한번 구경해보는것도 좋겠네요

전세

보증금을 맡기고 남의 집에 임차한 뒤 계약기간이 끝나면 보증금을 돌려받는 주택임대차 유형.

 

주택가격의 일부를 보증금으로 맡기고 남의 집을 빌려 거주한 뒤 계약기간이 끝나면 보증금을 돌려받는 주택임대차 유형으로, 월세를 내지 않는다는 점에서 월세와 차별화된다.

 

우리나라 전세 제도의 기원은 1876년 강화도 조약 이후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당시 부산, 인천, 원산 등 3개 항구 개항과 일본인 거류지 조성, 농촌인구의 이동 등으로 서울의 인구가 급격히 늘면서

 

주택임대차관계가 형성되었다.

 

 

전세또한 직방에서 알아볼수있습니다 

월세 재계약시 체크리스트

월세 재계약 시에는 몇 가지 주의 사항이 있습니다. 

 

먼저, 임차인과 임대인 간의 합의사항을 명확하게 확인해야 합니다. 

 

임대 조건, 임대료, 계약 기간 등을 명확하게 협의하고 서면으로 기재하여 불명확성을 방지해야 합니다.

또한, 계약 갱신 시 현 거주 상태나 시설의 변화에 대한 확인도 필요합니다. 

 

부동산의 상태, 수리 및 보수 필요 여부 등을 검토하여 양측이 만족할 수 있는 조건을 협의해야 합니다. 

 

만약 수리나 보수가 필요하다면 그에 따른 비용 분담 방법도 명확히 정해져야 합니다.

임대 조건의 변경이나 추가적인 합의가 필요한 경우에는 이를 서면으로 작성하여 양측이 동의한 뒤 계약을 갱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러한 서면 합의는 재산 소송이나 분쟁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마지막으로, 계약 갱신 시에는 임대 조건이 지난 계약과 변경된 부분, 새로운 계약 기간 등이 명확히 기재된 계약서를 작성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양측이 서로에게 책임을 알고 합의된 조건에 따라 거주할 수 있게 됩니다.

 

직방뿐만 아니라 집토스에서도 매물을 보실수있습니다 좋은 매물이 없어지기전에 빨리 확인하세요!

 

전세 재계약시 체크리스트

전세 재계약 시에는 여러 가지 주의사항을 고려해야 합니다.

 

임대 조건부터 보증금, 계약 기간, 그리고 부동산의 상태까지 신중한 확인이 필요합니다.

 

먼저, 이전 계약과 비교하여 임대 조건이 변경되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임대료나 관리비의 변동사항이 있다면 이를 재협의하고 명확히 정의해야 합니다.

 

또한, 계약 기간과 갱신 조건을 명확히 정하고, 필요한 경우 법적인 측면도 고려해야 합니다.

 

부동산의 상태에 대해서도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전과 달리 수리나 보수가 필요한 부분이 있다면 임차인과 임대인 간에 이를 언급하고 합의해야 합니다.

 

미리 발견하고 처리함으로써 향후 불편한 사태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전세 보증금에 대한 조건 역시 명확하게 정해져야 합니다.

 

반환 조건과 절차, 감소 사유 등을 상세히 확인하여 미래에 분쟁을 예방합니다.

 

또한, 임대인이 부동산을 다른 용도로 사용할 의도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미래에 갑작스러운 퇴거나 임대 조건 변경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최종적으로, 양측의 합의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서면 계약을 작성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모든 조건과 약정사항을 구체적으로 담아두어 미래에 불편함 없이 계약을 이행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러한 주의사항들을 고려하여 전세 재계약을 진행하면, 안정적이고 상호 협력적인 계약을 체결할 수 있습니다.

 

매물을 구해달라고 의뢰할수도있습니다

 

 

 
 

오늘은 이렇게 월세 재계약시 주의 사항과 전세 재계약이 주의사항을 알아봤습니다 도움되셨다면 좋겠네요!